관성(Inertia)

2022. 4. 24. 18:40그림으로 이해하는 일반물리/역학

    목차
반응형

관성이라는 단어는 물리학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쓰이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관성이란 무엇일까요?

관성이란 어떠한 물체가 자신의 운동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입니다.

조금 어렵나요?
아래의 그림을 통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회를 준비하는 역도 선수

상황
역도 선수는 대회를 앞두고 훈련이 한창입니다. 지금은 5 kg의 아령 대신 30 kg의 바벨을 들어올리는 중입니다.

문제
역도 선수는 아령과 바벨 중 무엇을 쉽게 들어 올릴까요?


여러분들은 이미 답을 알고 있겠지만, 하나씩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1. 물리학에서 물체가 자신의 운동상태를 유지하려는 것을 관성이라고 합니다.
  2. 이 때 관성을 수치화(숫자로 표현)한 물리량이 질량입니다.
  3. 관성이 클 수록 질량은 큰 숫자로 표기합니다.
즉, 질량이 클 수록 물체는 자신의 운동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뉴턴은 위와 같은 물체의 운동법칙을 '관성의 법칙'이라고 명명하였습니다. (뉴턴의 제 1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역도 선수는 질량이 아령보다 큰 바벨을 들어올리기 위해서(운동상태를 바꾸기 위해서) 더 강한 을 사용해야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역도선수가 사용해야하는 힘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링크 복사하기 by itcider.com 공유하기 by itcider.com 상단으로 올라가기 by itcider.com